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태양계 행성에서 제외 된 명왕성

by 과학연금술사 2022. 10. 10.

학창 시절 과학 시간에 태양계 행성을 몇 개로 배우셨나요? 30대 이상이라면 모두 9개라고 대답하겠지만 2006년 이후 태양계 행성은 수성, 금성, 지구, 화성,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 8개가 되었답니다. 아마 아이들을 가르치지 않았다면 우주시대가 열렸음에도 여전히 명왕성을 포함해 태양계 행성을 9개로 알고 있었을 것 같습니다. 명왕성은 왜 태양계 행성에서 자격이 박탈되었을까요? 태양계 행성의 특징과 명왕성 이야기를 간단히 정리하려고 합니다. 태양계는 태양을 포함해 태양을 중심으로 그 주변을 도는 천체로 이루어진 공간입니다. 8개의 태양계 행성은 크게 지구형 행성과 목성형 행성 두 종류로 나눌 수 있습니다.


< 지구형 행성 >
지구형 행성의 공통점은 표면이 암석이나 금속 등 고체 물질을 주성분으로 하는 행성으로 크기가 작고, 밀도가 높으며, 딱딱한 지표면이 있어 우주선이 착륙할 수 있습니다. 수성, 금성, 지구, 화성이 여기에 속합니다. 수성은 지구의 위성인 달보다 조금 더 큰 크기로 태양계 행성 중에서 가장 작습니다. 또한 대기와 물이 없어 표면에 운석 충돌이 흔적이 있습니다. 금성은 두꺼운 이산화탄소 대기층 때문에 표면 온도와 기압이 매우 높습니다. 태양계 행성 중 가장 밝아서 새벽 동쪽 하늘이나 초저녁 서쪽 하늘에서 볼 수 있습니다. 우리가 샛별이라고 부르는 별이 금성이랍니다. 화성은 2개의 위성을 가지고 있으며 붉은 빛을 띠고 있습니다. 화성이 붉은색으로 보이는 이유는 철이 많이 포함된 토양을 가지고 있으며 물과 철의 산화반응으로 붉은 색을 띤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는 과거 화성에 물이 있었다는 증거로 볼 수 있습니다. 

 

< 목성형 행성 >
목성형 행성의 공통점은 수소나 헬륨 같은 기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행성으로 크기가 크고 밀도가 낮으며, 지구형 행성처럼 딱딱한 지표면이 없어 우주선을 타고 가도 착륙할 수 없습니다.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이 목성형 행성에 속합니다. 목성은 태양계 행성 중에서 가장 크고, 대적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갈릴레이를 비롯해 79개의 많은 위성을 가지고 있답니다. 토성은 태양계에서 두 번째로 큰 행성으로 아름다운 고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타이탄을 비롯한 수십 개의 위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천왕성은 태양계에서 세 번째로 큰 행성으로 역시 고리와 많은 위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23.5도 기울어진 지구와 달리 자전축이 누워 있어 누운 모습으로 자전과 공전을 반복합니다. 해왕성은 천왕성과 비슷한 크기로 푸른색을 띠고 있습니다. 적도 부근에 희미한 고리를 가지고 있으며 역시 여러 개의 위성이 있으며 남반구 표면에 커다란 검은 점이 관찰됩니다. 


< 명왕성 >
명왕성은 1930년 미국의 천문학자 클라이드 톰보가 발견했다고 합니다. 그 이후 75년 동안 태양계 행성의 지위를 지니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2006년 국제천문연맹이 새로 정한 태양계 행성 기준에 못 미쳐서 제외되었습니다. 태양계 행성은 첫째, 태양의 주위를 공전하는 천체일 것, 둘째, 자체 중력으로 구 형태를 이룰 수 있을 정도의 질량을 가질 것, 셋째, 궤도 주변에 어느 정도의 지배력(중력)을 가지고 있을 것, 이 세 가지 기준을 만족시켜야 한다고 합니다. 하지만 명왕성은 크기가 달의 2/3 정도로 작고, 자신의 궤도에서 지배적인 역할을 하지 못한다고 합니다. 또한 궤도가 나머지 8개의 행성과 다르게 긴 타원형이라 2006년 8월 24일 체코 프라하에서 열린 국제천문연맹 총회에서 왜소행성으로 새롭게 분류되었다고 합니다. 그 이후 태양계 행성은 8개가 되었답니다.  

기준 미달로 75년 태양계 행성의 위치에서 제외된 명왕성, 지금은 8개 행성을 배우지만 내 기억 속 태양계에는 아직 명왕성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댓글0